Home > 발달장애연구소 > ADHD클리닉

ADHD클리닉

ADHD의 증상

▣ ADHD의 증상

 

어느 정도의 산만함은 아이로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ADHD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나이와 증상의 정도,

일상생활에서의 심각성등을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아래의 증상이 있을 경우 ADHD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 과잉행동(Hyperactivity)

과잉행동아동은 허락 없이 자리에서 이탈하고,

뛰어다니고 팔과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는 등 할동 수준이 높습니다.

장시간 가만히 앉아 있어야하는 상황에서는 신체통제에 어려움을 느끼며,

손가락이나 다리를 끊임없이 움직이고, 이상한 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주의력결핍(Inattention)

과잉행동이 양적 차원을 반영한다면,

주의집중결함은 자극이나 과제에 대한 반응의 질적 차원을 나타내는 것으로,

ADHD의 주된 특성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주의집중은 여러 기술이 요구되는 복잡한 과정으로,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기위해서는 수많은 주의집중 기술을 습득해야합니다.

어떤 자극에 적절하게 초점을 맞추고,

두 가지 과제가 동시에 주어질 때 각각의 과제에 효율적으로 주의 집중을 하고

어떤 변화를 탐지하고 그 변화에 반응할 준비 상태인 경계심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지속적 주의 집중이 필요합니다.

 

ADHD아동은 경쟁 자극을 물리치고,

적절한 자극에 주의 집중하는 초기의 선택적 주의집중에서 결함을 보입니다.

시각적 혹은 청각적 자극특성이 분명한 경우에 비해 중립적이거나

자극의 특성이 모호한 경우에는 주위집중결함이 현저하게 나타납니다.

ADHD 아동의 선택적 주의집중결함을 밝힌 한 연구(Shroyer&Zentall,1986)는

듣기과제에서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거나, 묘사를 많이 보태거나,

배경음이 있을 때는 ADHD 아동의 듣기 이해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충동성(Impulsivity)

충동성은 반응을 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각 없이 혹은 생각하기 전에 행동하는 경향성을 말합니다.

Kendall과Wilcox (1979)는 충동성은 단일구조가 아니며 인지수준과 행동수준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는데

인지 수준에서 볼 때 충동성은 여러 대안적인 문제 해결책을 적절하게 평가하는 능력이 없는 것이고,

행동적 수준에서 볼때 충동성은 원치않는 말이나 신체적 해동을 억제하는 능력이 없는것을 말합니다.

충동성은 만족지연의 무능력, 낮은 좌절내성, 동작운도 억제의 무능력,

계획능력의 부족 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Milich&kramer,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