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문화 교류 > 국제교류

국제교류


국제화 정보화 시대의 현장 체험 교육의 하나로

탐방국의 문화 및 발전상등을 직접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청소년들에게 탐방하는 나라의 학교와 자매 결연 및

학생들의 상호 교류를 통해 청소년의 세계화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며, 유아교육 종사자와 각종 문화예술, 스포츠 단체의 교사 및 교육 관계자들에게

해외탐방 및 연수를 통해 견문을 넓히고 국제화에 대비하는 문호를 넓힌다.

■ 해외교육문화탐방을 위한 교육적인 프로그램개발.

■ 자매학교 결연 체결 지원, 교류회 체결 지원

   (현지 교육청 상호 협약에 의거 체결 지원)

■ 대상층에게 전문화된  프로그램으로 사업

   ☆ 자매학교 방문 및 교류회 

   ☆ 청소년 해외교육문화탐방 

   ☆ 특별 활동반 체험

   ☆ 교직원 해외연수 

   ☆ 선진유아교육연수 

   ☆ 문화, 예술, 스포츠 단체의 교류회

   ☆ 퇴임교원의 해외교육문화탐방


  기   간 : 학기 중, 방학 중(수시)

  지   역 : 일본, 중국 등 (가까운 이웃나라)

  대   상 : 중, 고교생, 교직원, 퇴원교원, 유아교육 담당자 등

  내   용 : 문화교육탐방, 선진유아교육시설관람, 테마별 교육여행

  ◎ 1988년 첫 해외문화탐방 실시(일본)

  ◎ 1995년 광복 50주년 기념

    ‘중국 백두산 항일 투쟁 유적지 역사교육탐방’ 2,000명 실시.

  ◎ 1988년 ~ 2007년 총 215회 30,000여명 참가 

    ▷자매학교협정 및 국제교류회

     일본, 중국, 미국, 싱가폴, 필리핀, 말레이시아

    ▷교사연수 : 일본 , 중국, 싱가폴 등

    ▷ 축제참가 : 태권도팀, 사물놀이팀, 브러스벤드 등

    ▷ 문화교류 : 희망 학교 나라별 추진(현지 교육청 협조)

◈ 학생 수준에 맞는 교육적인 해외교육문화탐방 프로그램의 개발보급.

◈ 탐방국의 역사, 문화, 교육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 상호인적 교류 확대.

◈ 학생 및 교육 관계자 해외교육문화탐방 의 활성화.

◈ 장애학생을 위한 해외문화탐방 프로그램개발 및 추진.

◈ 테마가 있는 해외 교육 문화 탐방 프로그램개발.

◈ 학생, 학교 상호간 국제교류의 정례화.

일본 중국 및 기타 국가들을 대상으로 탐방하며 역사 문화 교육을 보다

깊게 이해하고 우리나라와 비교하는 능력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적이고

신뢰감 있는 프로그램으로 현지 교육청과의 상호 협약에 의거 자매결연

체결 및 학생 상호 교류회를 통해서 '한국 속의 나'에서'세계 속의 나'를

발견하여 불가능은 없다는 자신감을 고취시켜주는 현장 체험위주의

프로그램입니다.

▣ 기대효과

1.세계화 정보화 시대의 현장체험교육.

2.다양한 문화체험을 통한 견문을 넓히는 현장교육.

3.미래사회를 향한 용기와 신념 고취.

4.나라사랑, 가족사랑의 인성교육.

5.보고, 듣고, 생각할 줄 아는 자기계발.

 인간성장 발달의 기초인 유아교육을 위한 가르침에 종사하는

일선교사들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탐방하는 나라의 유아교육의 체계와 운영실태 그리고 교육방법 등을

우리와 비교 검토할 수 있는 기회로 시설견학 및 세미나를 통해서

교사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접목하고자 합니다.

또한 연수교육과 더불어 탐방하는 나라의 문화와 풍물을 직접 살펴 볼

수 있는 한국교육문화원의 프로그램입니다.

▣ 기대효과

  1.교사들의 상호간 친목과 유대강화.

  2.유아를 위한 새로운 교육의 개발.

  3.창의적인 교육계획안 방향 설정.

  4.탐방국의  유아교육과 문화의 체험.

  5.미래사회를 향한 자기계발의 장.

각급학교의 특별활동반의 교류행사로 교류회, 공연, 친선경기 등

테마별로 구성된 프로그램입니다. 

▣ 기대효과

  1.보고 듣고 생각할 줄 아는 자기계발 및 사기진작.

  2.세계화, 정보화 시대의 현장체험학습.

  3.글로벌 시대의 다양한 체험을 통한 정보교환.

교육현장에서 학생과 직접 대하는 선생님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외국의 교육과 문화를 직접 체험하는 해외연수

프로그램.

▣ 기대효과

  1.21C의 새로운 교육의 실현.

  2.외국의 교육 및 문화의 다양한 현장체험.

  3.교사 상호간 친목과 유대강화.

  4.창의적인 교육계획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