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중독
게임중독은 과도한 게임으로 인하여
학습및 사회생황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를 일컫습니다.
게임중독은 인터넷 중독의 한 종류인데, 여기서 인터넷 중독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과도한 통신/인터넷 사용에 의해
현실세계에서의 사회적/가정/일 생활에 실제 어려움이 생겨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이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게 되는 경우’를 통상적으로 일컫는 말입니다.
인터넷 중독은 다시 게임중독, 채팅중독, 주식중독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데
이중 특히 온라인 게임에 몰두해 학업성적이 떨어지고
가족 및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일상생활까지 지장을 받는 것을 게임중독이라 합니다.
즉 게임의과도한 집착이나 습관적 행동으로 인해
생리적 의존성이 생겨 게임을 장기간 사용했을 때
시간이 지날수록 똑같은 만족을 얻기 위한 시간이 점점 늘어나거나
게임을 갑자기 중단하였을 경우 불안, 초조 등의 금단 증상이 동반되어 있는 것을 말합니다.
게임이나 인터넷에 과도하게 몰두하여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긴다면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게임중독의 증상
게임중독의 증상은 정서적인 문제를
비롯하여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게임중독의 주된원인
게임중독은 심리적원인, 인터넷 사용자체, 정신적 원인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선행되는 심리적 갈등이 존재하는 경우
①현실 대인관계의 어려움과 좌절
②부모 자녀관계의 갈등과 불화
③학교 성적 저하로 인한 비관
④정서적 위축, 자신감 저하, 외로움
현실 대인관계의 실패로 인한 좌절감과 우울감, 성적저하, 학교폭력,
집단따돌림, 유학 후의 부적응을 경험할 때의 심리적인 어려움과 외로움을
게임을 통해 잊어버리거나 채팅을 통해 위안을 받게 되면서
실제 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감정적 발산, 정서적 일체감,
우리라는 느낌을 갖게되어 심리적으로 의존하게 됩니다.
▷심리적 문제 없이 인터넷 사용 자체로 인한 경우
①성인 사이트와 음란물 중독
②게임중독
청소년 안에 내재된 공격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게임들이 가진 무수한 콘텐츠들이 가진 재미와 흥미는 청소년들에게
절제력을 상실하게 만들고 나아가 과다한 사용을 하게 만들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존의 정신적인 문제가 인터넷 사용을 연결되는 경우
①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②우울증, 불안 장애
③충동조절 장애
④사회성 결핍 등 발달 장애
⑤언어적 의사소통문제로 인한 현실관계의 제한
⑥사회공포증 및 회피성 인격장애
사회공포증 및 회피성 인격장애의 경우 친구를 사귀고 싶지만 거절당할 것 같은 공포와
창피를 당할 것 같은 두려움으로 인해 인터넷 활동을 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보냅니다.
정신분열형 인격장애의 경우 인터넷 정보검색을
망상적 내용을 공급해 주는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평상시의 주의 산만함으로 인하여
현실생활에서 부적절감을 느끼는 주의력 결핍 아동들의 경우
과각성 상태가 지속되는 게임을 통해 주의집중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효능감까지 느끼게 된다고합니다.
충동조절에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들 또한 게임에 중독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게임중독의 치료
▷예방과 조기 개입이 가장 중요합니다.
모든 중독에서 예방만큼 값어치가 있는 활동은 없습니다.
만일 예방에 실패했다면 조기에라도 개입이 되어야 합니다.
조기개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실생활의 유지입니다.
학교생활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초기에 지각 결석에 대한 가족의 태도가 확고해야합니다.
▷긍정적 관계가 중요합니다.
만일 학교복귀가 단기간 내 어렵다고 판단이 되면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긍정적 관계입니다.
인터넷으로 말미암아 등교를 포기 했다고 하면
상당히 심각한 병적 상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가족과 학교에서는 이런 인식이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와의 긍정적 관계회복으로 세상에 대한
신뢰와 기대를 갖게하여 대화의 길을 만들어야 합니다.
▷중요한 사람이 필요합니다.
학교에 가지 않기 시작하면 일체의 사회활동이 중지됩니다.
가능한 사회활동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비록 학교에 가지 않지만 교회를 나가든지 아니면 성당에 나가든지
또는 과외선생과의 관계를 만드는 것 등으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이들은 현실적 불안을 덜어주고
학생을 외부로 나오게 하는 다리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돕습니다.
장래에 관한 걱정이 없는 청소년은 단 한명도 없습니다.
▷적극적인 진로지도가 필요합니다.
학교에 가지 않고 몇 개월이 지나면
청소년들은 자신의 진로에 대해 좌절하거나 무력하게 대응합니다.
밖에 나기지 못하는 이유는 친구들을 만나서 할 말이 없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누군가와 관계가 형성되기 시작한 이후
적극적으로 필요한 것은 진로에 관한 지도입니다.
복귀를 할 것인지, 검정고시를 치를 것인지 아니면 연수나 유학을 갈 것인지,하는
현실적 복귀계획과 더불어 어떤 분야로 자신이 진출할 것인지를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①심리적 환경적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평가
인터넷 중독에 이를 수 밖에 없었던 아이의 정서적 환경적 원인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파악은 중독을 벗어나기 위한 무엇보다 중요한 단계입니다.
원인이 파악되지 않은 치료는 일순간의 미봉책에 불과합니다.
종합적 심리검사와 다양한 평가방법으로 아이의 상태에 대해서 파악해야 합니다.
②원인이 되는 심리적 갈등과 정신적 문제의 해결
아이에 대해 이해되고 파악된 결과에 따라서 그 원인 해결을 위한 심리치료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족치료적 접근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③뉴로피드백
게임에 대한 욕구를 줄여줍니다.
인터넷에 중독이 되었다 함은 이미 뇌의 깊은 곳에 중독에 대한 갈망이 저장되어
스스로의 의지로는 조절이 어려운 상태로 뇌기능이 학습되어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뉴로피드백 훈련을 통해서 이러한 갈망을 현저하게 줄여주기 때문에
게임을 중이거나 중단하기가 훨씬 용이해집니다.
명료한 각성상태를 유지해 줍니다.
또한 게임상태에서의 지나친 뇌의 자극은 게임 하지 않는 동안
멍한 상태를 유발하여 학습 활동 시에 뇌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해 합니다.
뉴로피드백 훈련을 통해서 뇌의 상태를 정상적인 각성상태로 만들어 주기 때문에
제대로 집중을 할 수 있고,학습활동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집중력을 향상시켜 줍니다.
뉴로피드백을 통한 집중력 향상은 중독된 학생들에게
게임 이외의 다른 활동에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도와줍니다.
④약물치료
현재의 심리적 상태와 주의집중력 상태에서 따라서 약물치료의 도움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주의력 결핍이나 우울 불안 문제 등은 약물치료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⑤부모교육
무엇보다도 중요 한것은 아이의 현 상태와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부모의 이해와 파악입니다.
체계적인 부모교육프로그램으로 부모 역할의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습니다.

|